[EBS 과학수업 영상] 지구의 밥. – 이산화탄소의 성질, 식물의 광합성

출처 동아출판 6학년 1학기 과학 교과서 4단원 광합성 지난 단원에서는 이산화탄소 발생 실험을 통해 이산화탄소의 성질에 대해 배우게 됩니다.이 실험을 하면 아이들이 그런 질문을 합니다.이산화탄소는 우리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 것 같아요.지구온난화도 일으키고요.그 말이 틀린 것은 아니지만 이산화탄소는 우리 생활에 꼭 필요하기도 해요.이산화탄소의 역할에 대해 이야기하려고 자료를 찾던 중 아래 영상을 발견했습니다. 지구의 밥(Rice on Earth), 2012.04.18 EBS Learning(교육), 배움의 저편, Beyond Learning

물과 이산화탄소만으로 햇빛을 이용하여 식물은 광합성을 하고 있으며, 이때 생성되는 포도당이 모여 전분이 되고, 이 전분이 우리 밥의 주요 성분입니다.

식물은 지구상에서 스스로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유일한 생물입니다.

식물이 에너지를 얻기 위해 필요한 것은 단 3가지입니다.

뿌리에서 퍼올린 물,

잎구멍으로 들어오는 이산화탄소

그리고 햇빛

사람을 포함한 지구 생물이 생존하는 데 절대적으로 필요한 포도당과 산소는 식물에서 얻을 수 있습니다.

포도당이 여러 개 모여 전분을 형성하고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를 숨쉬게 하는 산소저희 밥 한 그릇은 식물의 광합성이 있어서 가능합니다.식물의 광합성이란 녹색 식물이 빛 에너지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와 물로 포도당과 산소를 합성하는 과정을 말합니다.식물의 광합성이란 녹색 식물이 빛 에너지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와 물로 포도당과 산소를 합성하는 과정을 말합니다.하지만 해마다 개발로 사라지는 숲, 늘어나는 육식에 우리 식탁은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그래서 NASA는 광합성 지도를 만들었는데 광합성 지도란 식물이 광합성을 할 때 내는 붉은 빛을 측정해서 지도로 만든 것입니다.식물의 광합성 정도를 관측함으로써 식량 생산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고 합니다.아이들과 함께 이산화탄소와 식물의 광합성에 대해 함께 공부할 때 참고하면 좋을 것입니다.계약 톰슨:/유토.벨/수입영화 프로그램 대금 1특색#지구의밥 #EBS #이산화탄소 #광합성 #광합성지도입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